문서 보기되돌리기역링크Copy this page맨 위로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미중 데탕트====== =====배경===== ====중소 이념대립==== [[wp>ko:중소분쟁]] * 1956 흐루시초프의 스탈린 격하운동: 중소갈등의 시작 * 중국: 자본주의와의 충돌은 불가피하다. 소련의 평화공존(peaceful coexistence) 주장 거부 * 1958 중국 대약진운동 시작 * 소련의 경제지원 중단 * 중소관계 파국 * 1964 모택동: 소련은 자본주의국가라며 비난 * 소련: 중국과의 전쟁 가능하다고 지적 * 중국 공산당 ~ 소련 공산당 관계 단절 * 1964.10 중국 핵실험 성공 * [[외교사:동양사:1966.문화대혁명|1966 문화대혁명]] * 중소관계 악화 * 1967 홍위병이 베이징 주재 소련대사관 습격 * 중국: 19세기 러시아가 청나라로부터 강탈한 영토문제 제기 ====중소 국경분쟁==== [[wp>ko:중소국경분쟁]] * 1964 제한된 형태의 무력충돌 시작 * 소련이 중국과의 국경에 군사력 집중 * 1969 우수리강 진보도에서 대규모 군사적 충돌 발생 * 1969.11 국경분쟁이 합의를 통해 해결 * 이후 중국의 외교정책 변화 =====내용===== ====중국과 미국의 국가이익==== * 중국: 소련이 중국을 침략할지 여부는 미국 행동에 달렸다고 인식 * 미국 * 한국전쟁에서 적국이었음 * 대만문제로 갈등 * 베트남 전쟁에서 간접적으로 충돌 * 그럼에도 소련과의 경쟁에서 중국의 생존이 전략적으로 중요함 ==== 접촉 시작==== * 양국이 파키스탄을 통해 접촉 * 핑퐁외교 * 1971 나고야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미국 탁구대표팀이 베이징 방문 *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개선의사 개진 ====상하이 성명(Shanghai Communique)==== [[wp>ko:개혁개방]] * 1971 키신저 중국 방문 - 미중 합의문 공개 * 1972 닉슨 베이징 방문 - 상해 코뮤니케 발표 ===내용=== * 상호외교관계의 정상화 * 반패권: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등장할 모든 형태의 패권에 협력하여 대처할 것에 합의 * 대만문제 * 미국이 "하나의 중국"원칙 인정. 평화로운 해결의 중요성 강조 * 중국: "대만문제는 군사력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군사력 사용 자체는 100년 동안 미룰 수 있다." 발언 * 현재까지 대만문제의 해결을 미루고 있음 ====이후 미중소관계==== * 미국과 중국은 상해코뮤니케 이후 사실상 동맹국처럼 행동 * 연락사무소 설치하여 대사관 역할 수행 * 포드, 카터의 중국 방문 * 1979 미중 외교관계 정식으로 시작 * 1979 덩샤오핑 미국 방문 * 귀국길에 '소련의 공격성'에 대한 일본의 이해 촉구 *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비난 * 1979.2.15 중국이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wp>ko: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파기 선언 =====함의 ===== * 닉슨 키신저 외교: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소련을 견제하는 이 시기 외교정책 * 소련: 미국과 중국 연합에 의해 포위 * 이후 1980년대 초반 다시 냉전이 격화됨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상자에 있는 모든 글자를 채워주세요. B T G K K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