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보기되돌리기역링크Copy this page맨 위로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1925 로카르노 조약====== =====배경===== * [[외교사:1_2차_세계대전:1.제1차_세계대전:1919.파리강화회의|베르사유조약]]의 가혹성 논의 * 독일: 화폐 주조하여 1921 최초로 배상금 지불, 인플레이션 발생 * 이후 채무불이행 지속(("소극적 저항")) * 1923 프랑스와 벨기에의 1923 루르 점령 * 각종 상품, 자산, 지하자원 압류 * 독일인: 파업, 태업 등으로 저항 * 독일 상공업 마비, 마르크화 가치 급락, 초인플레이션, 재정 파탄 * 독일 바이마르 정부 지지도 급락, 사회 불안정 * 1924 미국의 Dows안(([[wp>ko:도스 플랜]]. 이후 [[wp>ko:영 플랜]]으로 대체)): 루르 철군, 전쟁배상금 처리를 위한 논의 * 미국 압박으로 프랑스, 벨기에 철군 * 라인란트 문제: 연합국이 예정된 제1차철수 안하기로 결정 * 슈트레제만((독일 외교장관))의 제안으로 회의 개최 =====내용===== * 제1협정(라인란트협정): * 5개국((독일, 벨기에,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은 프랑스-독일 국경, 벨기에-독일 국경의 현상유지를 보장한다 * 베르사유조약 제42조, 제43조((라인란트 비무장)) 준수를 보장한다 * 프랑스, 벨기에, 독일은 자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쟁하지 않는다 * 프랑스-독일, 벨기에-독일은 평화적 분쟁해결을 약속한다 =====함의===== * 진정한 의미의 제1차 세계대전 전후처리 완성이라 평가됨 * 프랑스: 독일 서부국경에 대한 보장으로 불안 해결 * 독일: 연합국의 라인란트 철수, 영프동맹 가능성에 대한 불안 해결, 국제사회 복귀, LN 가입 * 영국: 독일의 소련 접근 방지 * 동부국경((체코, 폴란드 등)) 보장 미비의 문제 * 소련 제외 * 영국이 주도한 반소동맹조약에 독일이 편입된 것으로 이해 *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을 막지 못함 * 당시 평화주의자, 국제규범 준수자로 비춰지던 슈트레제만의 의도가 사실 히틀러와 다를 바 없었음이 추후 밝혀짐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상자에 있는 모든 글자를 채워주세요. G N L N P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