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소간 긴장완화와 한반도에 미친 영향
군사부문
1972 SALT I 체결
정치부문
헬싱키 최종합의서
독일 분단 수용
경제부문
한반도에 미친 영향
1971.7.4 공동성명
1973.6.12 선언
관련 기출문제
미소간 긴장완화와 한반도에 미친 영향
쿠바미사일위기 이후 긴장완화
서독 핵무장 위기 해결 후 소련은 미국의 NATO 및 서독정책에 만족
제한적 신뢰, 안보딜레마 완화
군사부문
전략 핵무기 발사체 숫자 제한에 합의. 1971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함
1971.5 미사일 방어체계 합의
미사일 방어체계의 배치를 두 곳으로 제한
소련은 모스크바에, 미국은 ICBM기지에 배치
1972 SALT I 체결
ICBM 추가배치 않기로 합의
SLBM 제한
사찰은 없었으나 서로에 대한 정찰활동을 허용
은폐행위를 하지않기로 합의
정치부문
헬싱키 최종합의서
1973 유럽안보협력회의(CSCE) 출범
서방진영~공산진영 접촉 증가
1975 헬싱키 최종합의의 문서화
주권평등, 국경선 확인, 분쟁의 평화적 해결 등 규정
민주주의 확산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
헬싱키 과정(process) 10개 원칙: 개별 국가들이 자국 국민에게 보장해야 할 기본 권리를 규정
독일 분단 수용
1970 모스크바 조약
서독 정부: 독일의 민족자결권과 통일에 대한 권리를 잠정적으로 포기, 동독의 존재를 사실상 승인
할슈타인 원칙과 모순
이후 빌리브란트 동방정책으로 해소
제2차 세계대전에서 상실한 지역을 폴란드 영토로 인정
서독-폴란드 조약: 독일의 동부 국경선 재확인
1972 동서독 기본조약(Basic Treaty)
동독~서독 외교관계 수립
1973 동서독 UN 동시가입
경제부문
소련의 시베리아 석유자원 개발을 위한 송유관 건설을 위해 진영간 경제교류 이뤄짐
한반도에 미친 영향
1971.7.4 공동성명
통일의 원칙 천명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상호중상비방과 무력도발 금지
다방면에 걸친 교류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운영
실제로는 남북한에서 국내 권력 강화 수단으로 사용됨
한국: 계엄령 선포
북한: 사회주의헌법 채택
1973.6.12 선언
상호 내정간섭 거부
남북한 UN 동시가입
호혜평등원칙에 따라 모든 국가(공산주의국가 포함)에 문호 개방 선언
북한은 이것이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행동이라 비난, 남북대화 중단
관련 기출문제
Plugin Backlinks: 아무 것도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