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빌헬름 2세의 세계정책(Weltpolitik)
비스마르크 퇴임
1890.6 재보장조약의 연장 거부
러시아와 프랑스의 밀착
쉴리펜 계획
세계정책(Weltpolitik)
극동 진출
영국과의 건함경쟁
1905 제1차 모로코 위기
1911 제2차 모로코 위기
관련 기출문제
빌헬름 2세의 세계정책(Weltpolitik)
비스마르크 퇴임 이후 빌헬름2세의 세계정책과 그로인한 영국-프랑스-러시아의 밀착
비스마르크 퇴임
비스마르크: 현상유지 vs 빌헬름 2세: 현상타파
1890.3 비스마르크 퇴임
1890.6 재보장조약의 연장 거부
1887 독러재보장조약
비스마르크 보장체제의 해체
복합적 동맹네트워크 관리 능력의과 의지의 부재
영국과의 관계개선에 독러 재보장조약이 부담된다고 판단
러시아-프랑스는 결코 접근하지 않을 것이라 믿음
러시아 목표: 흑해함대의 지중해 진출 ↔ 프랑스: 반대
프랑스 목표: 알자스 로렌 회복 ↔ 러시아: 독일과 전쟁을 감수할 이유 없음
러시아와 프랑스의 밀착
러시아: 독러재보장 폐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대러시아 모험주의 우려
프랑스: 오랜 외교적 고립으로 러시아와의 협력에 적극적
1891 화친조약(Entente Cordiale) 체결, 1894 동맹조약(Dual Alliance) 체결
독일: 프랑스, 러시아 양국에 포위됨. '2개 전선' 실현
1)
쉴리펜 계획
'2개 전선'의 위험성 부각: 군사자원을 양분하지 않는 전략이 필요하게 됨
전쟁 발발시 동부전선은 수비, 주력부대가 네덜란드
2)
, 벨기에를 거쳐 프랑스 북부를 급습, 승리한 후 동부전선에서 러시아를 패퇴시킨다
6주 이내에 프랑스를 군사적으로 굴복시켜야 함
1914 전쟁에서 쉴리펜 계획대로 실행했으나 기동성이 충분히 발휘하지 못함
극대화된 안보상호의존성, 동맹의존성(chain-ganging) 증대, 구조적 경직성
세계정책(Weltpolitik)
1894 카프리비 퇴진 이후 본격적 제국주의화
사회적 제국주의(social imperialism): 제국주의적 팽창이 국내 사회적 문제 해결에 유용한 수단이다
극동 진출
3국간섭
참여: 큰 실익은 없지만 제국주의적 팽창 자체가 목적이 됨
난징조약
을 기초로 자오저우만 조차
해군기지로 활용. 극동함대사령부 설치
영국과의 건함경쟁
독일의 해군증강 정책
알프레드 마한, 티르피츠 제독에 영향받음.
해군주의자들(navalists): 방산기업인 + 해군장교, 군산복합체의 영향
제1 함대법(the First Fleet Act), 제2 함대법: 티르피츠의 해군 건설 노선. 빌헬름 2세가 공개적으로 지지
영국을 위협. 영국은 노급함 건조로 대응
영국과의 건함경쟁 시작
영국의 대응
독일의 위협에 더해 제2차 보어전쟁, 만주 문제, 인디아 안전보장문제
영광스러운 고립(the Splendid Isolation)노선 변경
영일동맹
으로 일본에게 동아시아 문제(러시아 봉쇄)를 일임
빌헬름 2세: 독러재보장조약 파기 + 영국은 러시아 견제를 위해 영일동맹 체결 → 영국이 독일과 한 편이 될 것이라 예측함
3)
프랑스와의 밀착
1904 영불협상
ko:영불 협상
배경
1898 파쇼다 사건
4)
:
아프리카 대륙에서 영국의 종단정책 vs 프랑스의 횡단정책의 충돌
이집트령 수단 남부 파쇼다에서 영국군과 프랑스 군 맞닥뜨림. 프랑스 철수로 위기 종식
대독일 공동전선을 위해 식민팽창을 자제한 것
영국-프랑스 간 식민지 확보 경쟁 중단
1899 보어전쟁: 영국 육군의 취약성 폭로됨
내용
군사동맹은 아님. 우호관계, 식민지 경쟁의 종식
프랑스의 동맹국인 러시아, 영국의 동맹국인 일본으로 인해 전쟁에 연루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
당시 러시아-일본은 식민지 세력범위의 의견조정중
5)
영국은 이집트, 프랑스는 모로코에 대한 영향력을 가짐을 상호 인정
1905 제1차 모로코 위기
빌헬름 2세: 독일이 막강한 힘을 과시하면 영국이 독일과 동맹을 체결할 것이라 믿음
6)
1905.3 모로코의 탕헤르
7)
방문, 모로코가 주권국가임을 선포
1906 알헤리라스 회의: 모든 열강들 프랑스 지지, 오스트리아-헝가리만 독일 지지
모로코에서 프랑스의 특수이익 지지, 독일 고립
영국과 러시아의 밀착
크로우: 영국의 주 경쟁국은 약화된 러시아
8)
가 아닌 팽창주의 신흥강국 독일이다. 영러간 관계강화 필요성 주장
1907 영러협상
레발 협정(Reval Agreement)
ko:영러 협상
Anglo-Russian Convention
배경
독일의 해군력 증강, 바그다드 철도 계획
영국의 인도 방어 부담 급증
러일전쟁
에서 러시아의 패배
양국의 이해관계
영국: 유럽과 근동에서 독일에 대한 세력관계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유도
러시아: 러일전쟁 패배, 인민봉기 + 독오동맹을 영국과의 협력으로 대처
내용
양국이 충돌하지 않도록 영향권 분할, 중립지대 설정
티벳 내정불간섭: 중국의 티벳 종주권을 인정
중국과 인도의 현상유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영국 세력권 인정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지위를 변경하거나 내정간섭하지 않는다.
페르시아를 세 지역으로 분할한다.
러시아 영향권 하 지역
중간지대
영국 영향권 하 지역
함의
“외교혁명”: 영국이 독일의 도전에 집중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제국주의적 긴장관계 해소에 합의한 것
독일 포위의 현실화 (러불동맹+영러협상)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으로 독일외교의 통찰력 부족이 지적됨
영국은 러시아 뿐 아니라 독일의 인도 근방 진출을 위협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음
9)
관련 기출문제
Plugin Backlinks: 아무 것도 없습니다.
1907 영러협상
1907 영러협상
레발 협정(Reval Agreement)
ko:영러 협상
Anglo-Russian Convention
배경
독일의 해군력 증강, 바그다드 철도 계획
영국의 인도 방어 부담 급증
러일전쟁
에서 러시아의 패배
양국의 이해관계
영국: 유럽과 근동에서 독일에 대한 세력관계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유도
러시아: 러일전쟁 패배, 인민봉기 + 독오동맹을 영국과의 협력으로 대처
내용
양국이 충돌하지 않도록 영향권 분할, 중립지대 설정
티벳 내정불간섭: 중국의 티벳 종주권을 인정
중국과 인도의 현상유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영국 세력권 인정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지위를 변경하거나 내정간섭하지 않는다.
페르시아를 세 지역으로 분할한다.
러시아 영향권 하 지역
중간지대
영국 영향권 하 지역
함의
“외교혁명”: 영국이 독일의 도전에 집중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제국주의적 긴장관계 해소에 합의한 것
독일 포위의 현실화 (러불동맹+영러협상)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으로 독일외교의 통찰력 부족이 지적됨
영국은 러시아 뿐 아니라 독일의 인도 근방 진출을 위협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음
10)
관련 기출문제
Plugin Backlinks: 아무 것도 없습니다.
1911 제2차 모로코 위기
모로코에서 술탄에 저항하는 봉기 발생하자 프랑스가 군대 파견
11)
빌헬름 2세: 독일 상인 보호를 구실로 아가디르에서 무력시위
영국: 독일이 프랑스 공격시 영국군 파병할 것을 선언
독일: 아프리카 식민지 약간 얻는 대가로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행정지배권 인정
유럽의 세력 구도가 독-오를 영-프-러가 둘러싸는 형태로 굳어짐
관련 기출문제
Plugin Backlinks: 아무 것도 없습니다.
1)
참고:
비스마르크 동맹체제의 목적과 구성
2)
이후 제외
3)
,
6)
어이없음
4)
ko:파쇼다 사건
5)
니시-로젠 협정, 의화단 사건 등
7)
프랑스가 지배, 스페인과 영국이 인정
8)
러일전쟁
패배
9)
,
10)
1905 제2차 영일동맹
11)
1906 알헤시라스 협정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