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 |||
외교사:냉전사:미중.데탕트 [2025/04/28 03:30] 162.158.90.234 이전 판으로 되돌림 (2022/10/15 10:05) |
외교사:냉전사:미중.데탕트 [2025/04/28 03:42] (현재) 162.158.90.234 이전 판으로 되돌림 (2025/04/07 05:15) |
||
---|---|---|---|
줄 1: | 줄 1: | ||
- | ======중소갈등, | + | ======미중 |
=====배경===== | =====배경===== | ||
- | ====중소분쟁==== | + | ====중소 |
[[wp> | [[wp> | ||
* 1956 흐루시초프의 스탈린 격하운동: | * 1956 흐루시초프의 스탈린 격하운동: | ||
* 중국: 자본주의와의 충돌은 불가피하다. 소련의 평화공존(peaceful coexistence) 주장 거부 | * 중국: 자본주의와의 충돌은 불가피하다. 소련의 평화공존(peaceful coexistence) 주장 거부 | ||
- | * [[..: | + | * 1958 중국 대약진운동 시작 |
* 소련의 경제지원 중단 | * 소련의 경제지원 중단 | ||
* 중소관계 파국 | * 중소관계 파국 | ||
- | * 1962 중국-인도 국경분쟁: | ||
* 1964 모택동: 소련은 자본주의국가라며 비난 | * 1964 모택동: 소련은 자본주의국가라며 비난 | ||
* 소련: 중국과의 전쟁 가능하다고 지적 | * 소련: 중국과의 전쟁 가능하다고 지적 | ||
줄 18: | 줄 17: | ||
* 1967 홍위병이 베이징 주재 소련대사관 습격 | * 1967 홍위병이 베이징 주재 소련대사관 습격 | ||
* 중국: 19세기 러시아가 청나라로부터 강탈한 영토문제 제기 | * 중국: 19세기 러시아가 청나라로부터 강탈한 영토문제 제기 | ||
- | * 1968 브레즈네프 독트린 | + | ====중소 |
- | * 중국: 소련을 " | + | |
- | * " | + | |
- | * 소련이 알바니아, | + | |
- | *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거나 폭력을 행사할 우려 | + | |
- | ===국경분쟁=== | + | |
[[wp> | [[wp> | ||
* 1964 제한된 형태의 무력충돌 시작 | * 1964 제한된 형태의 무력충돌 시작 | ||
* 소련이 중국과의 국경에 군사력 집중 | * 소련이 중국과의 국경에 군사력 집중 | ||
- | * 1969 우수리강 진보도에서 대규모 군사적 충돌 | + | * 1969 우수리강 진보도에서 대규모 군사적 충돌 |
- | * 중국군이 소련군을 매복 습격 | + | |
- | * 국론분열((문화혁명의 혼란))을 민족적, 국가적 단결로 이끌기 위함 | + | |
- | * 중국의 군사적 취약성을 위장하기 위함 | + | |
* 1969.11 국경분쟁이 합의를 통해 해결 | * 1969.11 국경분쟁이 합의를 통해 해결 | ||
* 이후 중국의 외교정책 변화 | * 이후 중국의 외교정책 변화 | ||
=====내용===== | =====내용===== | ||
====중국과 미국의 국가이익==== | ====중국과 미국의 국가이익==== | ||
- | === 중국=== | + | * 중국: 소련이 중국을 침략할지 여부는 미국 행동에 달렸다고 인식 |
- | * 소련이 중국을 침략할지 여부는 미국 행동에 달렸다고 인식 | + | * 미국 |
- | * 중국-소련-베트남 삼각관계에서 베트남이 소련에 기울었다고 판단 | + | * 한국전쟁에서 적국이었음 |
- | * 소련의 위협: 브레즈네프 독트린, 우수리강 국경분쟁 등 | + | * 대만문제로 갈등 |
- | * 외교적 고립감 | + | * 베트남 전쟁에서 간접적으로 충돌 |
- | | + | * 그럼에도 소련과의 경쟁에서 중국의 생존이 전략적으로 중요함 |
- | * 타이완해협 위기로 미중관계 악화 | + | |
- | * 문화혁명으로 외교 마비, 중소관계 악화 | + | ==== 접촉 시작==== |
- | * 1962 쿠바 미사일위기 이후 미소 관계개선((미소가 결탁하여 중국을 공격, 분할지배할 것이라는 의심)) | + | |
- | === 미국=== | + | |
- | | + | |
- | * 베트남전으로부터의 명예로운 평화((닉슨의 대선 공약이었음)) 실천 | + | |
- | * 중국과 관계를 개선하고 이를 미소관계에서 지렛대로 활용 | + | |
- | * 소련, 중국이 북베트남 원조 감축 또는 북베트남의 고립감을 자극시킴으로써 북베트남이 파리협상에서 더 타협적으로 나오도록 압박 | + | |
- | * 베트남전을 조기 종결, 남베트남에 대한 원조 축소 | + | |
- | * 닉슨: 민주당 정권의 중국 상실(Losing China)를 중국 찾기(Finding China)로 정치프레임화하여 정치적 자산 극대화 | + | |
- | * 악화된 중소관계를 이용, 미중소 관계를 미국이 주도하는 전략적 3각관계(strategic triangle)로 정립 | + | |
- | * < | + | |
- | ===[Asia After Viet Nam] - Foreign Affiars 1967.10, 닉슨=== | + | |
- | " | + | |
- | </ | + | |
- | === 타이완 문제 === | + | |
- | * 중국: 타이완은 중국령. 미국이 내정간섭과 군사적 개입을 하고있다 | + | |
- | * 미국: 국민당의 타이완 실효지배를 인정해야 한다.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 + | |
- | ==== 1969 닉슨 독트린 ==== | + | |
- | ===괌 선언=== | + | |
- | * 미국은 앞으로 아시아에서 지상군이 참가하는 군사적 개입을 피한다. | + | |
- | * 방위공약은 준수한다. | + | |
- | * 동맹국이나 미국의 안보에 사활적으로 중요한 국가가 핵위협을 받으면 방위력을 제공한다 | + | |
- | * 이들 국가에 대한 비핵공격 발생시 당사국이 지상군 동원의 일차적 책임을 진다. 공약에 따른 군사적, 경제적 원조는 제공한다. | + | |
- | === 대중국 메세지 === | + | |
- | * 미국은 더이상 과거처럼 ' | + | |
- | * 베트남에서 미군을 철수함으로써 이를 실천할테니 중국도 미국의 실용주의에 호응하길 바란다 (([국제관계사], | + | |
- | ==== 접촉 시작=== | + | |
* 양국이 파키스탄을 통해 접촉 | * 양국이 파키스탄을 통해 접촉 | ||
- | * 저우언라이: | ||
- | * 중국에 억류된 미국인 2명 석방 | ||
- | * 바르샤바 회담: 미국의 고위급 특사파견 예정 | ||
- | * 캄보디아 콘놀 쿠테타, 장제스 아들의 방미, 캄보디아 내 북베트남 기지 공습, 중국 당내 권력투쟁으로 미뤄짐 | ||
- | * 양국 대화 노력 계속 | ||
- | * 1970 에드가 스노우 초청: 국경일 행사 관전 | ||
- | * 중국 인민들에게 새로운 미국의 이미지 | ||
- | * 마오: 스노우와의 인터뷰에서 " | ||
* 핑퐁외교 | * 핑퐁외교 | ||
* 1971 나고야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미국 탁구대표팀이 베이징 방문 | * 1971 나고야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미국 탁구대표팀이 베이징 방문 | ||
*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개선의사 개진 | * 중국이 미국과의 관계개선의사 개진 | ||
- | * 미국 대중 무역제재((한국전쟁 이후 가해짐)) | ||
====상하이 성명(Shanghai Communique)==== | ====상하이 성명(Shanghai Communique)==== | ||
- | [[wp> | + | [[wp> |
- | [[https:// | + | * 1971 키신저 |
- | [[https:// | + | * 1972 닉슨 베이징 방문 |
- | * 키신저: 방중 전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소 전략무기제한협상(SALT I) 절차상 합의문과 함께 "미국은 소련과의 협상에서 | + | ===내용=== |
- | * 저우언라이: | + | |
- | ===1971 키신저 중국 방문=== | + | |
- | * 키신저: 베트남전 종결시 타이완 주둔 미군을 철수할 것, 타이완은 중국의 일부라 인정, 단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되어야 함 | + | |
- | === 1972 닉슨 베이징 방문=== | + | |
- | * 키신저 방문 이후 린뱌오((문화대혁명이 낳은 스타. 마오쩌둥의 정적. 미중관계 개선에 암묵적으로 반대했음)) 숙청 | + | |
- | * 타이완 문제: 미국은 ' | + | |
- | * 소련 문제: 중소국경에 배치한 소련 군사력 현황을 중국과 공유함. 1급 기밀이었음 | + | |
- | * 일본 문제: 주일미군, | + | |
- | * 베트남전 문제: 중국이 베트남에 인민해방군을 파병하지 않을 것임을 암시. 미국은 중국이 적어도 북베트남이 협상을 거부하도록 격려((소련처럼))하지 않을 것을 요청 | + | |
- | * 한반도 문제: 주한미군 감축 논의, 일본의 한반도 문제 개입 방지. 남북 접촉 촉진((남북 분쟁이 미중 관계악화로 이어질 것을 우려)) | + | |
- | ===상해 코뮤니케 발표=== | + | |
* 상호외교관계의 정상화 | * 상호외교관계의 정상화 | ||
* 반패권: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등장할 모든 형태의 패권에 협력하여 대처할 것에 합의 | * 반패권: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등장할 모든 형태의 패권에 협력하여 대처할 것에 합의 | ||
줄 117: | 줄 62: | ||
* 닉슨 키신저 외교: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소련을 견제하는 이 시기 외교정책 | * 닉슨 키신저 외교: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소련을 견제하는 이 시기 외교정책 | ||
* 소련: 미국과 중국 연합에 의해 포위 | * 소련: 미국과 중국 연합에 의해 포위 | ||
- | | + | * 이후 1980년대 초반 다시 냉전이 격화됨 |
- | * 탄도미사일요격제한협정(ABM Treaty) | + | |
- | * 전략적공격무기제한잠정협정 서명 | + | |
- | * 일본, 한국의 국가전략 전환 촉진 | + | |
- | * 일본: 1972.9 중일 국교정상화 | + | |
- | * 한국: 미국의 남북대화 압박, 주한미군 1/3 철수 -> 1972.7.4 남북공동성명(([[https:// | + | |
- | * 남북공동성명은 이후 남북 각각에서 권력의 공고화 수단으로 이용됨((박정희 유신헌법, | + | |
- | * 1973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미중관계 진전이 사실상 정지 | + | |
- | * 1977 미국 지미카터, | + | |
- | * 1978.12에 1979.1.1부로 미중 외교관계 정상화 선언 | + | |
- | * 1979.4 타이완관계법 통과: 타이완에 무기판매 지속, 타이완 고위인사의 미국 방문 허용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