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보기되돌리기역링크Copy this page맨 위로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1895 삼국간섭====== [[wp>ko:삼국 간섭]] ====내용===== * 일본: 시모노세키조약을 통해 요동반도 획득 시도 * 이에 러시아, 독일, 프랑스가 개입하고 일본이 굴복한 사건 * 러시아: 요동반도로의 진출 모색중이었음 * 프랑스, 독일: 중국의 현상유지를 원함 =====함의===== * 일본은 서구열강의 지지 없이 세력팽창에 성공할 수 없음을 깨달음 - 이는 러시아 혹은 영국과의 제휴를 고민하는 계기로 연결되며 '만한조선론'을 내세운 러시아와의 "러일교섭(1903-1904)" 등의 실패와 영일동맹 체결(1902)로 이어 * 잠정적 현상유지 정책기저로 전환 =====참고===== ====1895 이후 동아시아의 양상 ==== * 영국-미국-일본 삼국의 제국주의 카르텔 연합 본격화((참고: 동아시아 전쟁과 평화2 <html><div class="ttbReview"><table><tbody><tr><td><a href="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82925&ttbkey=ttbjiyoon9312080006003&COPYPaper=1" target="_blank"><img src="https://image.aladin.co.kr/product/368/29/covermini/8935659975_1.jpg" alt="" border="0"/></a></td></tr></tbody></table></div></html> *이미지 클릭시 알라딘 페이지로 이동)) * [[외교사:서양사: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1890_1905_비스마르크_체제의_해체기 #1902 제1차 영일동맹| 1902 영일동맹]] * [[외교사:동양사:2.청일전쟁.러일전쟁:1905.가쓰라.태프트.밀약|1905 가쓰라-태프트 밀약]] * [[외교사:서양사: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1904_러일전쟁|러일전쟁]] 직전까지 반러 콘도미니엄 형성하여 대응 ====1896 아관파천==== * 일본 견제를 위해 러시아를 이용하고자 했던 고종이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사건 * 조선에서의 러시아 영향력 강화 * 이후 러일간 체결한 문서들(([[외교사:동양사:2.청일전쟁.러일전쟁:러일간.잠정적.현상유지.시기|]])) * 베베르-고무라 각서((아관파천 이후 체결.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204&levelId=tg_004_0390&ganada=&pageUnit=10|우리역사넷]])) *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wp>ko: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 * 니시-로젠 협정((만한교환론 재등장. 완충지대 설정. [[wp>ko:니시-로젠 협정]])) ====1897 독일의 청도 조차==== [[wp>ko:자오저우만 조차지]]\\ {{:외교사:동양사:2_청일_세력전이:schantung_kiautschou.jpg?nolink&600|}} * 독일이 웨이하이웨이에 위치한 영국해군기지를 견제하기 위한 시도로 산둥반도 남단의 칭다오를 중국으로부터 조차 * 당시 주변국 정세 * 영국: 해군 1개국 기준, 영독간 해군교섭 결렬 * 이탈리아: 삼국동맹(독오이)와 프랑스 사이의 이중외교 * 프랑스: 삼국동맹에서 이탈리아 분리 시도. [[외교사:서양사: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1890_1905_비스마르크_체제의_해체기 #1902 영불협상|1902 영불협상]]. 러시아와의 관계증진 시도 * 독일: 3B정책(Berlin-Byzantium-Baghdad). 타국과 관계 악화. 오스트리아만을 믿을만한 상태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상자에 있는 모든 글자를 채워주세요. D Y U Q C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